분류 전체보기 112

React ch.1

200년만에 블로그에 들어왔다... 신입주제에 뭐가 바쁘다고 블로그를 소홀히 하다 정신차리고 공부를 시작하는 중이다.. 과장님이 리액트로 프로젝트 ui 개발을 하자고 하셔서 시작하게 되었는데 나름 재밌어서 좀 꾸준히 하다가 이것도 소홀해졌다..ㅎㅎ 우선 공부한거 적어놔야지 * 여기는 두서없이 우선 적어 놓을 예정 - 우선 코딩애플 강의를 참고했고, 코딩애플은 7강부터인가 유료여서 이후는 생활코딩 강의를 통해 진행할 예정이다. - state state: component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것들, props에 따라 component를 실제로 구현하는 것 state로 변경하면 재렌더링이 일어남 state를 변경하고 싶으면 복사해서 사용해야함 / 바로 사용할 수 없음 deep copy: 단순 값공유가 아닌 서..

React 2021.08.21

web & spring 정리

- 서블릿 매핑방식 1) web.xml - 속성 : servlet-name & servlet-class - 속성 : servlet-name & url-pattern 2) annotation 이용 - scope + session 얻어오는 방식 1) request scope ===> HttpServletRequest * 범위: 요청 ~ 응답 * 적용: jsp에서 데이터를 보여주고 끝나는 작업의 데이터 * ex) 게시판의 목록 보여주기 * * 2) session scope ===> HttpSession * 범위: 브라우저 close할 때까지, 보안때문에 timeout 적용해서 일정시간동안 * 요청이 없으면 삭제됨 * 적용: 브라우저가 종료전까지 유지가 되는 데이터. 대표적으로 장바구니, 로그인 * * 3) a..

Spring Framework - Day2

Spring MVC - 2) 과정 => list, delete등 어떤 컨트롤러를 선택할지 handler에게 의뢰한다. - Handler mapping의 역할 : controller를 선택하는 일 ( 어떤 컨트롤러를 호출할지 정함) - url pattern : '/' => spring에서 servlet mapping명을 / 로 사용한다. - Spring에서의 url 8090/app(context명) /(servlet mapping) / list(request mapping) => jsp - servlet에서 request mapping 값이 추가됨 - @RequestMapping("/list") : url값과 request mapping이 일치하는 메서드(controller)가 실행된다. - 4) 과정 =..

Spring Framework - Day1

IoC - 의존관계 : 객체가 다른 객체와 상호 작용하는 경우를 객체의 의존 관계라고 한다. - DI: 객체간의 의존 관계를 생성자 인수(constructor argument)나 setter method arguments로 명시하고, 객체를 생성할 때 생성자나 세터를 통해 의존 관계를 주입하는 방식을 따르는 디자인 패턴이다. - 스프링 IoC 컨테이너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에서 존재하는 객체를 생성하고, 의존 관계를 주입하는 일을 담당한다. - 여기서 스프링 컨테이너가 생성하고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객체들을 빈(bean)이라고 한다. -> 스프링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을 조합하기 위해 Factory나 Service locator등의 디자인 패턴을 직접 구현할 필요가 없다. - 의존 관계를 만들고 주입하는 ..

Web - JSP / Servlet / JS / Java - Day1

Web app 설정정보 관리 - web.xml 과 @ 둘다 사용 가능 Web 구성요소 1) java 2) html : 웹 페이지 구조 => 정적기능 3) jsp 4) js : web content => 동적기능 5) css : 스타일 6) image url 경로 정보 http://localhost: 8090 / HelloTest/ hello.html (1) (2) (3) (4) 1) protocol 2) server port 3) context 4) 자원 정적 component 동작 방식 - Java(Servlet) : 자바 기술로 프로그램 실행이 가능하다. => 동적인 data 생성 가능 동적 component 동작 방식 1) Servlet - 4)에서 실행을 하기 때문에 동적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..

sql oracle Day3

Mybatis DeptMapper.xml - mybatis-config.xml MySqlSessionFactory : 자바에서 인식하기 위해 돕는 파일 -> import 할 때 org.apache.ibatis로 해야함 - Dept class 생성시, 테이블의 컬럼명과 변수이름을 동일하게 지정해야한다. 만약 다르다면 별칭을 사용해 맞춰준다. => 컬럼의 헤더와 일치해주어야 한다. ex) select deptnum as deptno select to_char(deptno) as deptno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.